티스토리 뷰
대부분 코어데이터를 프로젝트 파일을 생성할 때 체크박스를 눌러 코어데이터를 추가합니다.
그런데 저는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어느정도 작업이 진행되고 갑자기 코어데이터를 사용하기로 결심해 급 코어데이터를 넣어야했던 경험이 ..ㅎ 있었습니다.
원래는 프로젝트 생성시 Use Core Data를 체크해주면 자동으로 코어데이터에 대한 파일들이 생성되는데요.
체크박스를 해지한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당연히 코어데이터 관련 파일들이 없겠죠.
그럼 생성새주면 됩니다. :-)
Command + N 을 눌러서 새로운 파일을 생성해줍니다.
그때 iOS 카테고리로 가서 CoreData부분에 Data Model이라고 적힌것을 클릭하고 만들어주면 됩니다.
(아 Mapping Model 아니고 Data Model 입니다. 비슷하게 생겼어요.)
파일을 생성해주면 xcdatamodelId파일이 생성됩니다.
그리고 코어데이터를 사용하게되면 AppDelegate파일의 내용도 달라지므로 따로 추가해 주어야 합니다.
1. Use Core Data에 체크를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해줍니다.
2. AppDelegate 파일에 들어가서 보면 기존에 생성되는 내용과는 다르게 밑에 (//MARK표시로 Core Data stack) 추가되어 있어요.
//MARK: - Core Data stack 아래로 다 복사해서 내가 사용하고 있던 프로젝트에 가져와 AppDelegate밑에 붙혀 넣어줍니다.
3. 아 그리고 NSPersistentContainer(name: " ")라 적힌 부분은 파일명이랑 동일하게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꼭 변경해줘야 합니다.
4. 마지막으로 AppDelegate파일 상단에 import CoreData까지 작성해주면 됩니다.
'Tech >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 CGAffineTransform 사용하기 (8) | 2019.01.13 |
---|---|
iOS UIView animate 사용하기 (0) | 2019.01.12 |
iOS 로컬 데이터 저장 (2) CoreData (0) | 2018.10.17 |
iOS Photos 프레임워크 사용 (0) | 2018.10.08 |
iOS ActivityViewController 공유하기 (0) | 2018.09.21 |
- Total
- Today
- Yesterday
- stanford SwiftUI
- iOS SwiftUI
- Animation
- 스위프트UI
- string
- 문자열
- objective-c
- wwdc
- RX
- swiftUI
- ReactiveX
- 책
- ARC
- leetcode
- 머신러닝
- rxswift
- Deep learning
- 책 후기
- ios
- 딥러닝
- Xcode
- 독서
- objc
- 책 추천
- 애니메이션
- 알고리즘
- swift5
- 스위프트
- Algorithm
- SWIF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