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2P 네트워크를 살펴보기 전 일반적인 서버 기반인 네트워크를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경우의 서버 기반 네트워크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는 인터넷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버는 검색이나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이고 클라이언트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인터넷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서버에는 여러 대의 클라이언트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서버 베이스는 장점으로 관리가 쉽습니다. 단점으로는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가 중단됩니다. 위키백과에 나온 개념: (ko.wikipedia.org/wiki/P2P) P2P (peer-to-peer network) 혹은 동등 계층 간 통신망..

컴퓨터 네트워크 안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그리고 통신 자입가 한데 어우러져 동작하고 있다. 이러한 동작들은 각가의 역할에 따라 크게 애플리케이션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4개 계층으로 분류되고, 위 아래 인접한 계층끼리 서로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네트워크 통신을 한다. TCP / IP 4개의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역할은 사용자가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속하는 프로그램이고, 이때 주고받은 데이터는 페이지를 요청하는 URL과 그 응답 결과로 전달되는 웹 페이지 데이터다. 트랜스포트..
- Total
- Today
- Yesterday
- ReactiveX
- swiftUI
- Animation
- 스위프트UI
- 딥러닝
- 머신러닝
- wwdc
- rxswift
- Xcode
- 애니메이션
- 독서
- iOS SwiftUI
- ARC
- stanford SwiftUI
- Deep learning
- string
- objc
- objective-c
- 책
- 책 후기
- RX
- Algorithm
- 문자열
- SWIFT
- ios
- leetcode
- swift5
- 책 추천
- 알고리즘
- 스위프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